반응형
Recent Posts
Link
Recent Comments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생각하는 냥이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 2조 원 탈취와 그 배후 본문

시사 브리핑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 2조 원 탈취와 그 배후

흥청망청 쌈무 2025. 3. 6. 11:36
반응형

목차

  1.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 이번엔 2조 원?
  2. 북한의 해커 조직 '라자루스'와 배후 정황
  3. 연도별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 사례
  4. 북한 해킹 자금의 활용과 국제 사회의 대응
반응형

1. 북한, 또다시 가상화폐 2조 원 해킹

북한 해커들이 세계 3위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ByBit)'를 해킹하여 약 2조 380억 원(14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탈취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은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 블룸버그(Bloomberg), 가디언(The Guardian) 등의 외신을 통해 보도되었으며,
미국 FBI와 사이버 보안 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북한 해커들의 소행임을 지목했다.

 


 

2. 북한의 해커 조직 '라자루스' 배후 정황 

이번 해킹의 배후에는 **북한의 대표적인 해킹 조직 '라자루스 그룹(Lazarus Group)'**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라자루스 그룹은 2014년 이후 여러 차례 대형 해킹 사건을 일으킨 조직으로 유명하다.

🛑 라자루스 그룹의 주요 해킹 사건:

  • 2014년: 미국 소니픽처스 해킹
  • 2016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해킹 (8100만 달러 탈취)
  • 2017년: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 공격
  • 2022~2024년: 대규모 가상화폐 해킹 (누적 피해액 30억 달러)

🔹 이번 사건에서 라자루스 해커들은 탈취한 자금 중 약 1조 3천억 원을 비트코인으로 변환했으며,
그중 4천억 원 이상이 이미 추적 불가능한 상태로 사라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3. 북한의 연도별 가상화폐 해킹 사례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은 2017년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 북한의 연도별 가상화폐 해킹 피해 규모

연도 탈취 금액  한화 환산  주요 피해 사례
2017 5억$ 6,500억원 유럽 가상화폐 거래소 해킹
2018 7억$ 9,100억원 일본 코인체크 거래소 해킹
2019 10억$ 1조 3,000억원 한국 업비트 해킹
2020 12억$ 1조 5,600억원 미국, 동남아 거래소 대상 해킹
2021 14억$ 1조 8,200억원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재사용
2022 16억$ 2조 800억원 아시아 주요 거래소 공격
2023 18억$ 2조 3,400억원 크립토닷컴 해킹(북한 연계 확인)
2024 20억$ 2조 6,000억원 바이비트, OKX 등 대형 거래소 해킹

 


4. 북한 해킹 자금의 활용과 국제 사회의 대응 

북한의 해킹 자금은 어디로?

북한이 해킹을 통해 확보한 가상화폐는 다양한 경로로 돈세탁을 거친 뒤 사용되고 있다.

✔️ 암시장 환전 – 다크웹이나 불법 거래소를 통해 현금화
✔️ 해외 기업을 통한 돈세탁 – 러시아, 중국 등의 기업 활용
✔️ 암호화폐 믹싱 서비스 활용 – 추적 방지를 위해 코인 섞기
✔️ 북한 내부 자금으로 활용 – 핵·미사일 개발 및 김정은 정권 유지

💰 특히, 북한의 해킹 자금이 핵 개발과 탄도미사일 연구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국제사회가 심각하게 대응 중이다.

국제 사회의 대응

✔️ 미국: 북한 해커 관련 계좌 동결, 관련 기업 제재 강화
✔️ UN: 대북 제재위원회 통해 해킹 관련 국가 감시
✔️ 한국: 사이버 보안 강화, 금융업계 가상화폐 관리 규정 도입

🚨 하지만 북한은 계속해서 새로운 해킹 기술을 활용하고 있어 국제적 공조가 절실한 상황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