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Link
Recent Comments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생각하는 냥이

사회보험료 부담, 얼마나 클까? 본문

시사 브리핑

사회보험료 부담, 얼마나 클까?

흥청망청 쌈무 2025. 3. 11. 13:14
반응형
건강보험 내랴, 국민연금 내랴…
목차

사회보험료만큼이나 늘어난 쌈무
놔라 제발

반응형

1. 국민 부담 증가, 얼마나 올랐을까?

국민이 부담하는 5대 사회보험료가 최근 10년 새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민이 부담한 5대 사회보험료는 177조 7872억 원으로 2022년(165조 9969억 원)보다 7.1% 증가했다. 이는 10년 전인 2013년(85조 8840억 원)과 비교하면 2.1배 증가한 수치다.

  • 5대 사회보험료 내역 (2023년 기준)
구분 부담액 (조 원)
건강보험 82.1
국민연금 58.3
고용보험 17.8
장기요양보험 10.4
산재보험 9.1

기업과 근로자가 부담한 사회보험료는 149조8974억 원으로 전체의 84.3%를 차지하며, 사용자(기업) 부담액만 81조 3300억 원으로 45.7%에 달한다.


2. 사회보험료, 어디에 쓰일까?

사회보험료는 국민 건강 보장, 노후 연금 지급, 실업 지원, 장기요양 서비스 제공, 산업재해 보상 등에 사용된다. 하지만 보험료 부담이 계속 증가하는 만큼, 지출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 OECD 국가 중 증가율 1위, 문제는?

최근 10년간 한국의 사회보험료 연평균 증가율은 7.5%로 같은 기간 물가 상승률(1.8%) 대비 4.2배, 명목 GDP 증가율(4.3%)의 1.8배 수준이다. GDP 대비 사회보험료 비중도 2013년 5.5%에서 2023년 7.4%로 증가했다. 이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율로, 고령화가 심각한 일본(14.8%)보다 2.7배나 빠른 속도다.

 


 

4. 기업 부담 확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과도한 사회보험료 부담은 기업의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고용과 투자 위축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경총은 "기업 부담이 지나치게 커지면 신규 채용이 줄어들고, 경제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5. 앞으로의 대책, 해결 방법은?

전문가들은 사회보험 지출 구조를 재검토하고, 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또한, 보험료 인상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정부가 보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생각하는 쌈무 인기글 추천 ***
2025.03.10 - [시사 브리핑] - 의대 증원, 득 본 줄 알았는데… '25학번'도 수업 거부? 앞으로 어쩌나
2025.03.09 - [시사 브리핑] - 부동산 하반기 폭락장 올까?
2025.03.02 - [시사 브리핑] - 몰라서 못 받는 가족연금! 연 30만원 지원받는 방법 총정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