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Link
Recent Comments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생각하는 냥이

부동산 하반기 폭락장 올까? 본문

시사 브리핑

부동산 하반기 폭락장 올까?

흥청망청 쌈무 2025. 3. 9. 01:39
반응형

부동산 가격을 지켜보는 쌈무
부동산 가격을 지켜보는 쌈무

목차

  1.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언제까지 지속될까?
  2. 부동산 거품의 핵심 지표: PJR 분석
  3. 투자 대비 수익률, 서울은 왜 꼴찌인가?
  4. 지방 부동산 시장의 미래 전망
  5. 전문가의 조언: 지금 부동산 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
반응형

1.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언제까지 지속될까?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언제까지 지속될까?
서울 아파트값 급등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하며 시장이 과열되고 있어. 2024년 6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수급이 뜨거워졌으며, 특히 강남권에서는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그러나 이러한 상승세가 지속될지에 대한 의견은 엇갈리고 있어.

전문가들은 2025년 하반기부터 조정이 올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어. 특히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차 규제가 7월부터 시행될 경우,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시장 분위기가 급격히 바뀔 수 있다는 분석이야.


2. 부동산 거품의 핵심 지표: PJR 분석

부동산 거품의 핵심 지표: PJR 분석
부동산 핵심 지표

부동산 거품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PJR(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Price-to-Jeonse Ratio)**이야. 이 지표가 높을수록 매매가가 전세가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상태라는 뜻이야.

현재 서울의 PJR은 **215.9%**로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이야. 과거 평균이 178%였고, 낮을 때는 140% 이하였던 점을 감안하면 거품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지역 현재 PJR (%) 역사적 평균 PJR (%)
서울 215.9% 178%
세종 227% 190%
강남 230% 이상 185%

 


3. 투자 대비 수익률, 서울은 왜 꼴찌인가?

투자 대비 수익률, 서울은 왜 꼴찌인가?
다세대 아파트

서울 아파트의 월세 수익률은 1.9%로 은행 예금이자(3.2%) 보다 낮아. 즉, 서울 아파트에 투자하면 대출 이자와 세금을 고려했을 때 오히려 손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는 거야.

지역 투자 대비 수익률(%)
서울 1.9%
세종 2.1%
충남 3.8%
경북 4.2%
전북 4.0%

4. 지방 부동산 시장의 미래 전망

지방 부동산 시장의 미래 전망
아프트 분석 이미지

반면 지방 부동산 시장은 앞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커. 충남, 경북, 전북이 가장 저평가된 지역으로 꼽히며, 공급 감소로 인해 장기적으로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야.

특히 울산, 충청남도는 2026년부터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일자리는 증가하는데 주택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자연스럽게 가격이 회복될 거라는 거야.

 


5. 전문가의 조언: 지금 부동산 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

서울 아파트 투자 주의: 현재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거품이 많고, 월세 수익률도 낮아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아. ✔ 지방 투자 기회 고려: 지방 중에서도 충남, 경북, 전북 등의 저평가 지역은 장기적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높아. ✔ 2025년 하반기 조정 가능성: 부동산 시장은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만큼, 무리한 투자보다는 시장 흐름을 보면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전문가의 조언: 지금 부동산 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
빌라와 아파트 비교

 


마무리

현재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강세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아. 특히 서울의 경우 투자 대비 수익률이 낮고, PJR 지표가 과거 최고 수준이라 거품이 심각하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해. 반면, 지방 부동산 시장은 공급 부족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반등 가능성이 있으니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