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Link
Recent Comments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생각하는 냥이

은행 대출금리, 왜 아직도 높은가? 금융당국의 점검 시작한다 본문

시사 브리핑

은행 대출금리, 왜 아직도 높은가? 금융당국의 점검 시작한다

흥청망청 쌈무 2025. 2. 24. 11:15
반응형
반응형

📌 목차


🔹 대출금리 상승 이유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은행 대출금리가 4%대를 유지하는 이유는 우대금리(가감조정금리) 축소 때문입니다.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책정하는 우대금리가 1%P 이상 줄어들면서 실질적인 대출금리가 높아졌습니다.

은행2023년 7월 우대금리2024년 1월 우대금리

KB국민은행 3.22% 1.95%
신한은행 2.02% 0.73%
하나은행 3.32% 1.63%
우리은행 3.08% 1.5%

우대금리가 축소되면서 대출금리가 상승

  • KB국민은행: 3.6% → 4.28%
  • 조달금리와 가산금리는 하락했지만, 가감조정금리 축소로 인해 대출금리 상승

🔹 기준금리와 은행 대출금리 관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은행의 조달금리(은행채 금리, 예금 금리)도 하락합니다. 하지만 최근 은행들은 조달금리는 낮추면서도 우대금리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출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은행 대출금리 계산식

대출금리 = 조달금리 + 가산금리 - 가감조정금리

📉 2023년 7월 대비 조달금리와 가산금리 변화

  • 조달금리: 3.58% → 3.01% (하락)
  • 가산금리: 3.24% → 3.22% (소폭 하락)
  • 가감조정금리: 1% 이상 축소 → 대출금리 상승

🔹 금융당국의 대응

은행들의 대출금리 조정을 두고 금융당국이 직접 점검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4대 은행의 이자이익이 34조 원을 돌파하자, 대출금리 인하 여력이 있는지 조사 중입니다.

📌 금융당국 점검 내용

  • 대출금리 산정 방식
  • 차주별·상품별 준거금리 변동 내역
  • 가산금리 및 우대금리 적용 현황

📢 금융위원장 발언

"올해는 기준금리 인하 시차가 지나면서 신규 대출금리 인하 여력이 있다. 점검하겠다." - 김병환 금융위원장

🔹 향후 전망

은행권의 대출금리 조정 여부는 금융당국의 압박과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전망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대출금리 변동을 주시하면서, 금융당국의 발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